-
고대 이스라엘의 유일신 신앙 - 매튜 J. 린치(Matthew J. Lynch)고대 근동 문화 2023. 5. 2. 15:18반응형
고대 이스라엘의 유일신 신앙
매튜 J. 린치(Matthew J. Lynch)
1. 유일신 신앙의 틀
유대교와 기독교가 히브리 성경과 구약에 근거하여 하나님에 관해 주장하는 핵심은 하나님은 오직 한 분이라는 것이다(신 4:35, 39). 구약에서 이 주장의 성격과 그것이 있는지 혹은 얼마나 많은지는 상당한 논란거리이다.
고대 이스라엘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유일신 신앙의 “기원”이나 등장 시기를 놓고 팔백 년 동안 의견이 달랐다. 이스라엘의 유일신론이 형성될 때 어느 문화가 영향을 주었는지 또 정말 그랬는지를 놓고도 의견이 다르다. “기원”에 관한 문제는 유일신론이 하나 혹은 몇 가지 원인으로부터 유래했다고 생각하는 데 초점을 두는 반면 이스라엘 역사는 이스라엘 종교 안에 여러 가지 반응을 일으키고 다채로운 유일신론적 표현을 하는데 이바지한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상호 작용했다고 증언한다.
유일신론의 기원이 불투명하고 생각보다 복잡하지만, 여호와가 유일신이라는 사실은 이스라엘 종교의 핵심적인 차원으로 등장한 사실 자체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이 장에서 우리는 유일신론의 확산과 다양한 현상을 살펴볼 것이다.
2. 유일신론의 기원에 관하여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으며 언제 그것을 아는가?
유일신론의 발생 시기를 찾는 일은 이스라엘의 유일신론을 연구하는 수많은 역사가가 우선 과제로 삼는 작업이다. 어떤 이는 모세 시대(14세기부터 13세기[이를테면 Kaufmann 1960, 137])로 보고 그 증거로 이집트의 아텐 신앙이 미친 영향력을 제시한다. 심지어 어떤 이는 수메르의 “언어의 바벨” 시를 언급하기도 한다. 그 시에서 시인은 모든 민족이 같은 (편리하게 수메르인의) 신 엔릴을 섬겼던 때를 추억한다(Kramer 1968, 109). 다른 이들은 유일신론의 기원을 B.C. 7세기나 6세기(M. S. Smith 2001a) 그 이후라고 주장한다.
학자들이 기원을 강조하는 경향은 이스라엘의 유일신론에 관한 논의를 두 가지 중요한 방식으로 조성했다.
첫째, 그것은 이스라엘의 유일신론이라는 특수한 모습을 만든 문화적 영향에 관한 이론을 많이 생성시켰다.
둘째, 이스라엘의 유일신론 이전의 “단계”를 발견하려는 희망을 품고 소수의 초창기 시문(신 32:8–9; 시 82편)을 탐구하여 이스라엘의 광범위하고 다양한 유일신론의 현상을 이해하려는 관심사를 굴절시켰다.
이 장은 고대 이스라엘의 유일신론 기원과 풍부한 다양성을 언급하고 이스라엘의 유일신 신앙에 관한 주장을 위해 성경 바깥의 증거의 유용성과 한계를 밝히려고 한다. 이 작업이 만나는 도전은 수없이 많지만, 그것들은 “유일신론”의 의미를 명확하게 이해하지 못해서 생긴 것이다.
3. “유일신론”의 의미와 적절성
“유일신론”이란 용어는 17세기 케임브리지의 플라톤주의자들이 신앙체계에 따라 종교를 체계화하려는 목적으로 시도한 방식에서 생겨난 시대착오적 표현이다(N. McDonald 2012, 16). 하지만 시대착오의 문제는 고대 이스라엘 종교를 묘사하려는 시도를 괴롭히며 유일신론과 마찬가지로 일신 숭배, 단일 신론, 다신론이나 무신론을 언급할 때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제일 나은 방법은 이 용어의 유용성을 포기하지 말고 성경과 성경 외의 증거를 통해 그 말의 의미를 만들어내고 다듬는 일이다.
“유일신론”은 이스라엘의 신 여호와가 최고의 신이라는 주장을 담고 있는 한 유용한 용어다(Lynch 2014a). 이 말은 신의 영역(보통 “하늘”)에서 숫자상으로 한 분만 있다는 뜻으로 혹은 다른 신들의 “존재”를 명백히 부인하는 본문으로 제한시킬 때는 적합하지 않다. 이를테면 어떤 성경 본문은 “위로 하늘이나 아래로 땅에 오직 여호와는 하나님이시오”(신 4:39)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유일신론의 절대적인 표현으로 보인다. 하지만 신명기보다 늦은 본문들은 이와 동시에 여호와를 경배하는 “하늘의 천군 천사”가 있다고 주장한다.
오직 주는 여호와시라 하늘과 하늘들의 하늘과 … 모든 천군[체바 하샤마임tseba’ hashamayim]이 주께 경배하나이다(느 9:6).
안식일 희생 제사의 노래(Songs of the Sabbath Sacrifice)처럼 아주 늦은 시대의 성경 외 본문들에서도 예배자는 천상의 모든 존재를 호출하여 여호와를 찬송한다(예, 4QSongs of the Sabbath Sacrifice d 1편, 1행, 30–37). 이 신적 존재들은 오직 여호와가 특출하며 예배받기에 합당하다고 소리를 높인다.
그래서 “이스라엘에는 얼마나 많은 신을 알고 있었는가?”
이 질문은 “이스라엘은 어떤 말로 여호와를 구별했으며 현실과 여호와의 관계를 어떤 식으로 규정했는가”라는 질문보다 실효성이 없고 부정확하다. 후자의 질문이 고대 이스라엘의 본디 유일신론 개념에 가깝게 이끈다.
나는 초기 연구에서(Lynch 2014b, 31) 표 43.1에서 보여 준 것처럼 여호와가 최고의 신이라는 성경의 묘사들을 제시했다. 왼쪽에는 느헤미야 9:6과 신적 존재들이 등장하는 안식일 희생제사의 노래와 같은 성경 외 본문들을 놓을 수 있고 오른편에는 신명기 4:39과 다른 신들의 존재를 부인하는 제2 이사야의 구절들을 놓을 수 있다.
성경 저자들은 어느 쪽에서든 여호와가 최고의 신이며 유일한 분이라고 표현한다. 달리 말해서 구약에는 매우 다양한 유형의 유일신론적 수사법이 존재하고 그것들은 본질적으로 연관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도 “유일신론”은 대다수 성경 저자들이 여호와가 최고의 신이라는 것을 다양하게 주장하는 바를 설명하는데 유용한 분석적 범주가 된다. 물론 모든 본문이 자의식을 갖고 그 범주를 가리키지는 않는다
매튜 J. 린치, “고대 이스라엘의 유일신 신앙,” in 고대 근동 문화와 구약의 배경: 구약의 숨겨진 이야기, ed. 조나단 S. 그리어, 존 W. 힐버, and 존 H. 월튼, trans. 김은호 and 우택주, 초판., vol. 33, 고대 근동 시리즈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20), 562–565.반응형'고대 근동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이스라엘의 가족 종교 - 앤드루 R. 데이비스(Andrew R. Davies) (4) 2023.05.03 싸움을 돋우는 자(champion, dueler)는 누구인가? (골리앗) (0) 2023.05.03 성경 시대의 노예(1) - 리차드 아버벡(Richard Averbeck) (0) 2023.05.02 고대 근동의 예언, 점술, 마술(2) - 존 W. 힐버(John W. Hilber) (0) 2023.05.02 고대 근동의 예언, 점술, 마술(1) - 존 W. 힐버(John W. Hilber) (2) 2023.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