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언
-
고대 근동의 예언, 점술, 마술(2) - 존 W. 힐버(John W. Hilber)고대 근동 문화 2023. 5. 2. 16:49
고대 근동의 예언, 점술, 마술(2) 존 W. 힐버(John W. Hilber) 3. 예언 1933년 마리의 왕실 기록보관소의 발견과 잇따른 출판은 고대 근동 예언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크게 증진했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새로운 발견이든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된 출판물이든 고대 근동의 예언 문헌들이 많이 알려졌다. 우르, 우룩, 키스, 마리, 바벨론, 에쉬눈나, 비블로스, 하티, 우가리트, 에마르, 앗수르, 암만, 하맛, 데일 알라, 이집트에서 나온 예언적 연설이나 예언 사상을 담고 있는 문헌이 약 150개 정도이다. 지리적으로 광범위하고 문서의 연대도 B.C. 3,000년 후반부터 3세기까지로 길다. 1) 메소포타미아 마리의 왕실 기록보관소에서 나온 B.C. 18세기의 서신과 행정 문서는 초기 메소포타..
-
고대 근동의 예언, 점술, 마술(1) - 존 W. 힐버(John W. Hilber)고대 근동 문화 2023. 5. 2. 16:33
고대 근동의 예언, 점술, 마술(1) 존 W. 힐버(John W. Hilber) 1. 정의 구약학 연구사는 “예언”과 “점술”을 뚜렷하게 분류하는 것이 전통이었다. 이것은 신명기 18:9–22의 구별법을 따른 것이다. 예언이 하나님을 대변하는 카리스마적 설교가의 선포를 말하는 것과 달리 점술은 자연 세계의 물체를 관찰하거나 조종하여 신들의 뜻을 알아내는 불법적인 관습을 시행하는 자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았다. 광범위한 고대 근동 종교의 맥락에서 볼 때 최근 연구들은 이와 다르게 정의하는 모습을 보여 준다. 요즘 논의들은 “점술”을 신의 영역에서만 알 수 있는 은밀한 지식을 얻어내는 방법이라고 본다(Grabbe 1995, 136–41; Homori 2015, 4). 이 정의에 따르면 “예언”은 “점술”의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