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이스라엘
-
그리스도 시대의 유대 세계(4) - 먼 동방의 유대인 방랑자들고대 근동 문화 2023. 5. 9. 15:08
내용 갈무리> 이 문서는 그리스도 시대의 유대 세계와 먼 동방의 유대인 방랑자들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유대 민족의 상황, 바벨론으로의 이주, 유대인의 학문과 상업 등이 소개되며, 이민단의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사는 유대인들의 이야기도 나온다. 그리스도 시대의 유대 세계(3) - 먼 동방의 유대인 방랑자들 지금까지 이야기한 것이 처음부터 유대 민족의 주요부와 힘을 구성하고 국가의 종교적 장래를 짊어진 흩어져 사는 유대인의 상황이다. 예루살렘 멸망 이후 팔레스타인의 영적 최고 권위가 바벨론으로 넘어갔다는 것, 정치적 역경하에서 랍비주의적 유대교가 이전에 행해진 하나님의 심판을 마치 자신의 행동으로 비준하려는 듯 스스로 옛 이스라엘의 흩어져 사는 자들의 자리로 옮겨 갔다는 것, 이것이 이상하게도 의미심..
-
그리스도 시대의 유대 세계(3) - 바벨론 사람들이 신학에 끼친 영향고대 근동 문화 2023. 5. 9. 14:43
바벨론 사람들이 신학에 끼친 영향 하지만 팔레스타인은 바벨론에 더 큰 빚을 지고 있었던 것 같다. 포로에서 귀환한 유대인이 처한 환경은 새로운 법규를 마련하기보다는 모세의 법을 채택할 필요성을 느끼게 했다. 그 외에도 경건한 사람과 열심 있는 사람 모두 율법 조문에 대한 외적 준수와 연구에 몰두했다. 이렇게 해서 생겨난 것이 미쉬나Mishnah 혹은 두 번째 율법인데, 이것은 첫 번째 율법, 즉 모세의 법을 설명하고 보충하기 위한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바로 이것이 참된 의미의 유대교의 유일한 교의학을 구성했으며, 현자, 랍비, 학자, 서기관, 다르샨Darshan이 그 연구에 참여했다. 그 연구 결과가 미드라쉬Midrash, 탐구라는 뜻인데, 그 이후로 이 말은 성경 주석과 설교를 가리키는 말로 일반에서 ..
-
고대 이스라엘의 가족 종교 - 앤드루 R. 데이비스(Andrew R. Davies)고대 근동 문화 2023. 5. 3. 14:08
고대 이스라엘의 가족 종교 앤드루 R. 데이비스(Andrew R. Davies) 1. 들어가기 사울 벨로우(Saul Bellow)의 1953년 소설 『오기 마치의 모험』(The Adventure of Augie March)의 장면 가운데 저자와 이름이 같은 화자는 할머니 라우쉬(Lausch)가 작고한 할아버지를 추모하는 모습을 이렇게 기술한다. "할머니는 예전과 늘 똑같이 라우쉬 할아버지 추모일에 일종의 제사처럼 양초를 켜고 요리에 쓸 밀가루 반죽 한 덩이를 석탄 위에 던져 넣고 아기 같은 치아를 드러내며 주문을 외워 악령을 저지했다. 그것은 물을 거꾸로 흐르게 하고 고모라를 파괴한 위대한 창조주 하나님과는 아무 상관도 없는 부엌 종교였다. 그러나 그것이 종교의 한 단면이었다(Bellow 2003, 39..